제임스 매클린

덤프버전 : (♥ 0)

파일:렉섬 AFC 로고.svg
렉섬 AFC 2023-24 시즌 스쿼드
1 레인턴 · 3 맥파드지언 · 4 토저 (VC) · 5 헤이든 · 6 터니클리플 · 7 데이비스 · 8 (C) · 9 팔머
10 멀린 · 11 맥알린덴 · 12 포스터 · 14 포드 · 15 오코넬 · 16 워터스 · 17 호산나 · 18 달비 · 19 멘디
20 캐넌 · 21 하워드 · 22 오코너 · 23 매클린 · 24 버틀러 · 27 비커스태프 · 29 바넷 · 30 존스 · 32 클레워스 · 34 제임스 · 38 · # 오콩코
필 파킨슨 · 스티브 파킨 · > 데이빗 존스 · 에이단 다빈손
* 이 표는 간략화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제임스 매클린의 기타 정보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rowbgcolor=#009447><width=10%> '''{{{#ffffff 순서}}}''' ||<width=30%> '''{{{#ffffff 선수 이름}}}''' ||<width=10%> '''{{{#ffffff 출전 횟수}}}''' ||<width=25%> '''{{{#ffffff 첫 경기}}}''' ||<width=25%> '''{{{#ffffff 마지막 경기}}}''' || || 1 || [[로비 킨]] || '''146회''' || 1998.3.25[br](vs 체코) || 2016.8.31[br](vs 오만) || || 2 || [[셰이 기븐]] || '''134회''' || 1996.3.27[br](vs 러시아) || 2016.5.31[br](vs 벨라루스) || || 3 || [[존 오셰이]] || '''119회''' || 2001.8.15[br](vs 크로아티아) || 2018.6.2[br](vs 미국) || || 4 || [[케빈 킬베인]] || '''110회''' || 1997.9.6[br](vs 아이슬란드) || 2011.6.4[br](vs 마케도니아) || || 5 || 스티브 스턴튼 || '''102회''' || 1988.10.19[br](vs 튀니지) || 2002.6.16[br](vs 스페인) || || 6 || [[데이미언 더프]] || '''101회''' || 1998.3.25[br](vs 체코) || 2012.6.18[br](vs 이탈리아) || }}}



파일:James McClean_Wrexham.jpg.webp
렉섬 AFC No. 23
제임스 매클린
James McClean
본명제임스 조셉 매클린
James Joseph McClean
출생1989년 4월 22일 (35세)
영국 북아일랜드 런던데리
국적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파일:영국 국기.svg

(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
신체180cm
포지션윙어, 풀백
소속 클럽인스티튜트 FC (2007~2008)
데리 시티 FC (2008~2011)
선덜랜드 AFC (2011~2013)
위건 애슬레틱 FC (2013~2015)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2015~2018)
스토크 시티 FC (2018~2021)
위건 애슬레틱 FC (2021~2023)
렉섬 AFC (2023~ )
국가대표103경기 11골 (아일랜드 / 2012~2023)




1. 개요[편집]


아일랜드 국적의 렉섬 AFC 소속 축구선수. 포지션은 미드필더, 수비수.


2. 클럽 경력[편집]



2.1. 경력 초기[편집]


북아일랜드 축구팀인 인스티튜트 FC에서 축구 경력을 시작했다. 2007-08 시즌 데뷔했으나, 시즌 종료 후 소속팀은 그와 재계약을 하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계약 만료로 팀을 떠났다.


2.2. 데리 시티 FC[편집]


곧바로 데리 시티에 입단한 뒤 2008년 7월 1일 보헤미안 FC와의 리그 컵 경기를 통해 1군에 데뷔했으며, 이 날 득점을 기록하면서 4:1 승리에 기여하며 훌륭한 데뷔전을 치렀다.

2009 시즌부터 본격적으로 1군 레귤러 멤버로 올라서며 많은 경기를 출전했으나, 소속팀의 재정난으로 몇 주간 주급을 지불받지 못했다. 그리고 이 기간 매클린은 당시 잉글랜드 리그 투 클럽이었던 링컨 시티 FC와 대화를 나눴지만, 자신의 조국인 북아일랜드를 떠나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이적은 무산됐다.

이후 소속팀이 재정 문제로 징계를 받으면서 2부리그로 강등당했다. 그는 팀에 남아 주축 선수로 활약하며 1시즌만에 1부리그 재승격을 이뤄냈다. 그리고 1부리그에서도 계속된 맹활약으로 피터보로 유나이티드 FC, 선덜랜드 AFC 등 잉글랜드 팀들의 관심을 끌었다.


2.3. 선덜랜드 AFC[편집]


2011년 8월 9일, 매클린은 35만 파운드의 이적료에 3년 계약을 맺고 선덜랜드로 이적했다. 계약 당시 팀의 감독이었던 스티브 브루스는 매클린을 팀의 미래라고 평가하며 큰 기대감을 드러냈다.

그러나 바로 1군에 합류하지는 못했고, 리저브팀 소속으로 활약하다가 브루스가 경질되고 새로 부임한 마틴 오닐이 그를 1군으로 불러들였다. 그리고 12월 11일, 블랙번 로버스와의 리그 경기에서 0:1로 뒤지던 후반 잭 콜백 대신 교체투입되며 데뷔전을 치렀다. 그리고 이 날 그는 인상적인 활약을 선보이며 2:1 역전승에 큰 역할을 했다.

이후 그는 마틴 오닐 체제 하에서 팀의 주축으로 자리잡았다. 오닐 감독은 그와 관련된 인터뷰에서 매클린은 리그 최고 수준의 재능을 가지고 있으며, 기복없이 매경기 팀을 위해 끊임 없이 뛰면서 우리가 모르는 특별한 에너지를 가진 선수라고 극찬하며 높은 신뢰감을 표시했다. 그리고 시즌 종료 후 선덜랜드 올해의 영플레이어 상을 수상하면서 자신이 활약에 보답 받았다.

다음 시즌에도 여전히 팀의 주축 선수로 활약했다. 그러나 2013-14 시즌을 앞두고 파올로 디 카니오가 부임한 뒤 지금은 범죄자가 된 아담 존슨이 프리 시즌 기간동안 레프트 윙 자리에서 준수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거기에 에마누엘레 자케리니까지 팀에 합류하게 되면서 그의 구상에서 제외되는 기미를 보이자 이적을 모색할 수 밖에 없었다.


2.4. 위건 애슬레틱 FC 1기[편집]


2013년 8월 8일, 그는 7년 만에 챔피언십으로 강등당하며 생존왕 타이틀을 내려놓은 위건에 입단했다.

3일 후 그는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와의 FA 커뮤니티 실드에서 데뷔전을 치렀으며, 팀은 0:2로 패했다.

두 시즌 동안 그는 PL 승격을 위해 힘을 보탰으나, 되려 2014-15 시즌 팀은 23위를 기록하며 리그 원으로 강등당하고 말았다.


2.5.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편집]


위건이 3부 리그로 강등당하면서 이적이 불가피했던 매클린은 MLS 진출도 모색했으나, 결국은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에 입단하면서 3년만에 PL 무대로 복귀했다.

웨스트브롬에 있는 기간 동안 크고 작은 사건[1]들이 있었지만, PL 무대에서 준수한 활약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2017-18 시즌에는 팀이 4번이나 감독을 교체하는 어수선한 상황 속에서 매클린 본인도 부진을 거듭했다. 이후 시즌 막바지에 대런 무어가 임시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맨유와 토트넘을 이기고 리버풀과 비기는 저력을 보여주며 뒤늦게 부활했지만 이미 너무 늦어버렸고, 결국 최하위로 챔피언십으로 강등했다.


2.6. 스토크 시티 FC[편집]


2018년 7월, 매클린은 웨스트브롬과 함께 챔피언쉽으로 강등을 맞이한 스토크 시티로 이적했다.

2019-20 시즌에는 팀의 핵심 선수로서 리그 원 강등 위기에 빠진 팀을 구해내며 스토크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했다.

다음 시즌에도 시즌 중반까지는 주전으로 뛰었으나, 후반기부터는 주전 경쟁에서 밀리며 명단에서 제외되는 경기가 많아지면서 컵 대회 포함 29경기 2골에 그쳤다. 또한 그는 2021년 1월, 코로나 바이러스 창궐로 인한 폐쇄 기간 동안에 체육관에 방문하여 방역 수칙 위반으로 징계를 받기도 했다.


2.7. 위건 애슬레틱 FC 2기[편집]


2021년 8월 17일, 6년 만에 친정팀 위건으로 복귀했다.

10월 16일 볼턴 원더러스를 상대로 한 리그 경기에서 두 골을 넣으며 4:0 승리에 기여했다. 그러나 득점 이후 과정에서 성난 볼튼 팬들이 그에게 병과 기타 물건을 던졌고, 뒤이어 위건 팬들이 광고판을 찢으면서 경기가 잠시 중단될 뻔했다. 다행히 경찰이 상황을 처리하면서 큰 인명 피해로 번지지는 않았다.


2.8. 렉섬 AFC[편집]


2023년 8월 4일, 렉섬 AFC와 1년 계약을 체결했다. 연장 옵션 포함.#


3. 국가대표 경력[편집]


북아일랜드 런던데리 출신이라 유소년 대표는 북아일랜드 대표를 지냈다. 2011년 북아일랜드 성인 대표로까지 첫 소집되었으나, 선수는 아일랜드 협회에서도 자신에게 관심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합류하지 않았다.

이후 2012년 1월, 당시 아일랜드 감독이었던 지오반니 트라파토니의 합류 제안을 받아들여 아일랜드 대표로써 국가대표 생활을 시작했다. 또한 2012년 2월 FIFA의 유권해석으로 매클린의 아일랜드 대표 출전이 문제가 없다는 확정을 받고 나서 같은 달 체코와의 A매치에 공식 데뷔하게 된다. 이후 반년 뒤 유로 2012에도 출전했다.

2023년 10월 5일에 국가대표 은퇴를 선언했고,# 11월 22일, 뉴질랜드와의 친선경기에서 선발 출장하며 대표팀 마지막 경기를 치렀다.


4. 여담[편집]


영국 소속의 북아일랜드 태생인데 아일랜드 국가대표팀을 선택한 상태에서 PL에서 매년 11월마다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를 기리기 위한 양귀비꽃 패치를 가슴에 다는 관행을 꾸준히 거부[2]하고 정치적 메세지를 은근히 내비치기까지해# 이로인해 상당히 잉글랜드 현지팬들 사이에서 어그로가 끌렸었다.

매클린이 공을 잡으면 관중들은 야유를 받거나 관중들이 단체로 영국국가 God Save the Queen, f**k the IRA 챈트 등을 부르는 것으로 불쾌감을 표했다.[3] 이에 매클린은 야유하는 관중들 못배워먹었다는식으로 대응해 정치적논쟁에 기름을 부었다.

2022년에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서거에 대한 추모를 혼자서 거부하기도 했다. 이에 아일랜드에서는 상당히 지지를 받았지만 정작 그가 뛰는 위건 애슬레틱이 있는 잉글랜드 리그에서는 그가 커리어 전반을 잉글랜드에서 보냈음에도 영국문화 자체에 대한 존중이 매우 부족하다는 비판이 있었다.


5. 같이 보기[편집]


파일:렉섬 AFC 로고.svg
렉섬 AFC 2023-24 시즌 스쿼드
[ 펼치기 · 접기 ]
렉섬 AFC 2023-24 시즌 스쿼드[주의]
파일:wrexham 22-23 1.jpg
파일:wrexham 22-23 3.jpg
파일:wrexham 22-23 4.jpg
파일:wrexham 22-23 5.jpg
파일:wrexham 22-23 6.jpg
134 (VC)56
롭 레인턴
Rob Lainto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GK
1989.10.12
2018~2024
칼럼 맥파드진
Callum McFadzea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4.01.16
2022~2024
벤 토저
Ben Tozer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0.03.01
2021~2024
애런 헤이든
Aaron Hayde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7.01.16
2021~2024
조던 터니클리플
Jordan Tunnicliffl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3.10.13
2022~2024
파일:wrexham 22-23 7.jpg
파일:wrexham 22-23 8.jpg
파일:wrexham 22-23 9.jpg
파일:wrexham 22-23 10.jpg
파일:wrexham 22-23 11.jpg
78 (C)91011
조던 데이비스
Jordan Davies
파일:웨일스 국기.svg | MF
1998.08.18
2020~2025
루크 영
Luke Youn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1993.12.22
2018~2024
올리 파머
Ollie Palmer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1992.01.21
2022~2025
폴 멀린
Paul Mullin
파일:웨일스 국기.svg | FW
1994.11.06
2021~2025
리암 매칼린든
Liam McAlinden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FW
1993.09.26
2021~2023
파일:wrexham 22-23 12.jpg
파일:wrexham 22-23 14.jpg
파일:wrexham 22-23 15.jpg
파일:wrexham 22-23 16.jpg
파일:wrexham 22-23 17.jpg
1214151617
벤 포스터
Ben Foster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GK
1983.04.03
2023~2024
앤서니 포드
Anthony Forde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MF
1993.11.16
2022~2024
이건 오코넬
Eoghan O'Connell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DF
1995.08.13
2023~2025
빌리 워터스
Billy Water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1994.10.15
2023~2025
브라이스 호사나
Bryce Hosannah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9.04.08
2021~2024
파일:wrexham 22-23 18.jpg
파일:wrexham 22-23 19.jpg
파일:wrexham 22-23 20.jpg
파일:wrexham 22-23 21.jpg
파일:wrexham 22-23 22.jpg
1819202122
샘 달비
Sam Dalby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1999.12.07
2022~2024
제이콥 멘디
Jacob Mendy
파일:감비아 국기.svg | DF
1996.12.27
2022~2025
앤디 캐넌
Andy Canno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1996.03.14
2022~2025
마크 하워드
Mark Howard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Gk
1986.09.21
2022~2024
토마스 오코너
Thomas O'Connor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MF
1999.04.21
2022~2025
파일:wrexham 22-23 24.jpg
파일:wrexham 22-23 27.jpg
파일:wrexham 22-23 29.jpg
파일:wrexham 22-23 30.jpg
파일:wrexham 22-23 32.jpg
2427293032
스콧 버틀러
Scott Butler
파일:웨일스 국기.svg | DF
2002.12.30
2022~2024
제이크 비커스태프
Jake Bickerstaff
파일:웨일스 국기.svg | FW
2001.11.11
2020~2024
라이언 바넷
Ryan Barnett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1999.02.13
2023~2025
제임스 존스
James Jones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 MF
1996.02.13
2021~2024
맥스 클레워스
Max Cleworth
파일:웨일스 국기.svg | DF
2002.08.09
2021~2024
파일:wrexham 22-23 34.jpg
파일:wrexham 22-23 38.jpg
파일:owen cushion.webp
파일:렉섬 AFC 로고.svg
파일:렉섬 AFC 로고.svg
3438-
애런 제임스
Aaron Jame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2005.06.30
2023~2024
엘리엇 리
Elliot Le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1994.12.16
2022~2025
오언 쿠션
Owen Cushio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2005.01.05
2023~2024
구단 정보
구단주: 라이언 레이놀즈, 롭 매킬헤니 / 감독: 필 파킨슨 / 홈 구장: 레이스코스 그라운드
출처: 구단 홈페이지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5월 31일
[주의] 이 틀은 기기 환경에 따라 볼 때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펼치기 · 접기 ]
포지션등번호한글 이름영어 이름생년월일출장클럽
GK개빈 바주누Gavin Bazunu2002년 2월 20일70파일:포츠머스 FC 로고.svg 포츠머스 FC
퀴빈 켈러허Caoimhín Kelleher1998년 11월 28일20파일:리버풀 FC 로고.svg 리버풀 FC
마크 트레버스Mark Travers1999년 5월 18일30파일:AFC 본머스 로고.svg AFC 본머스
DF맷 도허티Matt Doherty1992년 1월 26일251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 토트넘 홋스퍼 FC
엔다 스티븐스Enda Stevens1990년 7월 9일220파일:셰필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셰인 더피Shane Duffy1992년 1월 1일496파일:BHA.png 브라이튼 & 호브 알비온 FC
존 이건John Egan1992년 10월 20일191파일:셰필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제임스 매클린James McClean1989년 4월 22일8611파일:위건 애슬레틱 FC 로고.svg 위건 애슬레틱 FC
네이선 콜린스Nathan Collins2001년 4월 30일10파일:번리 FC 로고.svg 번리 FC
라이언 매닝Ryan Manning1996년 6월 14일40파일:swansea new logo.png 스완지 시티 AFC
앤드류 오모바미드레Andrew Omobamidele2002년 6월 23일40파일:노리치 시티 FC 로고.svg 노리치 시티 FC
셰머스 콜먼Séamus Coleman1988년 10월 11일611파일:에버튼 FC 로고.svg 에버튼 FC
MF조쉬 컬렌Josh Cullen1996년 4월 7일130파일:Anderlecht.png RSC 안데를레흐트
코너 하우리헌Conor Hourihane1991년 2월 2일301파일:셰필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제프 헨드릭Jeff Hendrick1992년 1월 30일662파일:뉴캐슬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제이슨 몰럼비Jayson Molunby1999년 8월 6일00파일:WBA.png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제이미 맥가레스Jamie McGrath1996년 9월 30일50파일:StMirren.png 세인트 미렌 FC
제이슨 나이트Jason Knight2001년 2월 13일81파일:더비 카운티 FC 로고.svg 더비 카운티 FC
알란 브라운Alan Browne1995년 4월 15일162파일: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로고.svg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FW칼럼 로빈슨Callum Robinson1995년 2월 2일226파일:WBA.png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아담 아이다Adam Idah2001년 2월 11일110파일:노리치 시티 FC 로고.svg 노리치 시티 FC
트로이 패럿Troy Parrott2002년 2월 4일92파일:MK_Dons.png 밀턴킨스 던스 FC
다일 호건Daryl Horgan1992년 8월 10일171파일:1200px-Wycombe_Wanderers_FC_logo.svg.png 위컴 원더러스 FC
제임스 콜린스James Collins1990년 12월 1일142파일:카디프 시티 FC 로고.svg 카디프 시티 FC
시에도지 오그베네Chiedozie Ogbene1997년 5월 1일31파일:로더럼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로더럼 유나이티드 FC
윌 킨Will Kean1993년 1월 11일00파일:위건 애슬레틱 FC 로고.svg 위건 애슬레틱 FC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1년 11월 5일


[1] 2015년 미국 투어기간 영국 국가제창 거부 및 수차례 신경전[2] 아일랜드인들은 강제로 징집되었다는 의식이 있고 양귀비가 영국군에 대한 상징으로 여기기 때문에 그렇다.[3] 홈팬들이나 친정팀의 팬들도 동참했을 정도이니 당시 분위기를 알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21:41:32에 나무위키 제임스 매클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